지자체 이자지원

지자체 이자지원 사업 소개
  • 재단과 협약을 체결한 시,도 지방자치단체 또는 기관이 자체 기준에 따라 학자금 대출이자(이자산정액 전액 또는 일부)를 지원하고 재단은 확정된 지원 금액을 대상자의 학자금대출 이자로 상환하여 실질적 상환부담을 경감
지자체 이자지원 절차
  1. 지원대상 고객
    소속 지자체 및 기관에
    이자지원 신청
  2. 지자체 및 기관
    자체 기준에 따른
    대상자 선정과
    지원금액 확정
  3. 재단
    지자체(기관)
    지원금액으로 지원대상의
    대출이자 상환
  4. 고객
    이자상환 내역확인
    *학자금대출 > 학자금뱅킹 > 학자금대출 상환지원 >지자체 이자지원 지급내역 조회 확인하기
지자체 이자지원사업 주요내용 및 신청
충청도 이자지원사업 주요내용 및 신청 표
지원기관 신청기간 신청대상 지자체 홈페이지
바로가기
당진시 2025. 4. 7. ∼ 2025. 4. 30. 2025년 지원기준(아래 ①, ② 조건 모두 충족한 대학생 본인)
  • ① 공고일(2025.4.1.) 현재 본인 또는 직계존속이 당진시에 1년 이상 주민등록이 되어있는 대학생(휴학생 포함) ※ 직계존속 : 부모, (외)조부모
  • ② ’16년 2학기 이후 한국장학재단에서 학자금 대출을 받은 대학생

    ※ 지원제외 : 대학교 졸업생, 대학원생, 국가, 타지자체 등 중복지원, 대출 전액 상환자

  • ③ 한국장학재단에서 2016년 2학기 이후 대출받은 학자금의 2024년 하반기(7~12월)동안 발생한 이자(생활비 대출이자 제외)
바로가기
대전광역시 2025. 2. 24. ∼ 2025. 3. 28. 2025년 지원기준 (① 또는 ② 요건중 하나 충족시 신청 가능)
  • ① 대전 소재 대학(원) 재·휴학생
  • ② 본인이 지원기간 중 대전시 외 대학교의 재학생(휴학생)으로서 본인 또는 부모가 2024년 2월 24일 이전부터 지금까지 대전시에 주민등록이 되어있는 자
  • ③ 09-2학기 이후 취업후상환/일반상환 학자금대출(생활비대출 포함) 2024.01.01 ∼ 2024.12.31. 동안의 발생한 이자
바로가기
대전청년내일재단 원금지원
2024. 9. 4.∼ 2024. 10. 4.
2024년 지원기준(아래사항에 모두 해당되는 경우)
  • ① 본인 또는 부모가 대전광역시에 공고일 기준(2024.9.4) 계속하여 1년이상 주소를 둔 자
  • ② 한국장학재단으로부터 학자금 대출(등록금, 생활비) 중 신청학기의 원금 최대 100만원 상환처리
바로가기
보령시 2025. 1. 9. ~ 2025. 1. 31. 2025년 지원기준(아래사항에 모두 해당되는 경우)
  • ① 본인 또는 부모가 공고일 기준 1년 이상 보령시에 주민등록이 되어있는 대학생(휴학생, 졸업 후 5년 이내 / 대학원생 제외)

    ※ 부모가 모두 사망한 경우 본인 또는 직계혈족을 기준, 1년 이상 보령시에 주민등록이 되어있는 대학 재학생

  • ② 20-1학기부터 일반상환 학자금 대출(등록금, 생활비), 21-1학기부터 취업후상환 학자금대출(등록금, 생활비)의 2024. 7. 1. ∼ 2024. 12. 31. 동안의 발생한 이자
바로가기
세종시
인재육성
평생교육진흥원
원금지원
~ 2025. 4. 29. 18:00까지
2025년 지원기준(아래사항에 모두 해당되는 경우)
  • ① 공고일 기준 1년 이상 세종특별자치시 계속 거주자(본인 또는 부모)
  • ② 한국장학재단에서 학자금 대출을 받은 국내 대학교 재학생
  • ③ 학자금 지원 구간이 6구간* 이하인 자 *25년 1학기 기준
  • ④ 2016년 1학기 이후 한국장학재단을 통해 대출받은 학자금(등록금, 생활비) 원금 최대 100만원 지원
바로가기
이자지원
~ 2025. 4. 18. 18:00까지
2025년 지원기준(아래사항에 모두 해당되는 경우)
  • ① 공고일 기준 1년 이상 세종특별자치시 계속 거주자(본인 또는 부모)
  • ② 한국장학재단에서 학자금 대출을 받아 이자를 납부중인 자
  • ③ ① 또는 ② 해당자 중
    • 국내 대학-대학원 학생(재학생, 휴학생)
    • 대학교 졸업(수료) 후 2년 이내의 미취업자
  • ④ 2016년 1학기 이후 한국장학재단을 통해 대출받은 학자금(등록금, 생활비)의 2024년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발생한 이자
바로가기
아산시 2025. 3. 24. ~ 2025. 4. 18. 2025년 지원기준(아래사항에 모두 해당되는 경우)
  • ① 공고일 기준 본인 또는 직계존속이 아산시에 1년 이상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자
  • ② 재·휴학생만 가능, 졸업생 및 대학원생 제외
  • ③ 2016년 2학기 이후 2024년 2학기까지 대출받은 학자금 중 2024년도 하반기(7월~12월)에 발생한 이자 지원(생활비 대출 제외)
바로가기
예산군 2024. 9. 10. ∼ 2024. 9. 30. 2024년 지원기준(아래사항에 모두 해당되는 경우)
  • ① 공고일 기준 예산군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자
  • ② 국내 대학(교) 재학생 또는 졸업생(졸업 후 2년 이내 미취업자)으로서 한국장학재단에서 학자금 대출을 받은 청년(18세~45세)
  • ③ 2017년 부터 한국장학재단으로부터 대출받은 일반, 취업후상환학자금대출(등록금, 생활비)의 2024년도 상반기(1~6월) 발생이자 전액
바로가기
천안시 2025. 1. 6. ~ 2025. 1. 23. 2025년 지원기준(아래사항에 모두 해당되는 경우)
  • ① 본인 현재 주소가 공고일 기준(25.1.6)천안에 등록되어 있거나, 직계존속 1인의 주소가 1년 이상 천안에 등록되어 있는자
  • ② 대학교 재-휴학생 및 졸업 후 2년 내 미취업자(대학원생 제외)
  • ③ 2017년부터 한국장학재단에서 대출받은 학자금(등록금, 생활비)의 2024년 7월부터 12월까지 발생한 이자(단, 대출당시 소득분위가 1~8분위에 해당하는 대출에 한함)
바로가기
충남평생교육
인재육성진흥원
2024. 9. 9. ∼ 2024. 9. 27. 2024년 지원기준(아래사항에 모두 해당되는 경우)
  • ① 공고일(2024. 8. 1.) 기준 본인 또는 부모가 주민등록 초본 상 충청남도에 1년 이상 계속해서 주소지를 둔 자

    ※ 2023. 8. 2. 이전부터 현재까지 중도이탈 없이 계속 거주한 자

  • ② 도내 대학교 또는 도내 대학원에서 2015년 이후에 한국장학재단으로부터(일반·취업 후 상환)학자금 대출(등록금·생활비)을받은 자
  • ③ 도외 대학교 또는 도외 대학원에서 2020년 이후에 한국장학재단으로부터(일반·취업 후 상환)학자금 대출(등록금·생활비)을받은 자
바로가기
충청북도
인재평생교육진흥원
2025. 2. 10. ∼ 2025. 3. 7. 2025년 지원기준(아래사항에 모두 해당되는 경우)
  • ① 25년 2월 10일 기준으로 본인 또는 직계존속이 계속하여 1년 이상 충북도내에 주소를 두고 거주하는 국내대학 재학생(휴학생) 및 졸업 후 2년 이내 미취업자(2022년 이후 졸업생)
  • ② 한국장학재단으로부터 일반학자금/취업후상환 학자금 대출당시 기준 소득 8분위 이하

    ※ 09-2학기 이후 일반학자금/취업후상환 학자금대출(등록금& 생활비 포함) 의 2024.7.1.~12.31일 까지 발생한 이자 지원

바로가기

※ 지자체별로 위원회 결과 및 추진일정 변화에 따라 신청기간 및 대상이 변경될 수 있음

※ 자세한 사항은 각 지자체별 홈페이지 공고 참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담당자
학자금상환부  |  최은영 ( ☎ 1599-2000)